Udp,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
Udp, 신뢰적 데이터 전송의 원리
UDP란
UDP(User Datagram Protocol)란 음성통신(VoIP, Voice over IP)나 이름 결정, DHCP나 시각 동기화 등 즉시성을 요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한다.- 커넥션리스 타입 프로토콜이며 UDP 커넥션이라는 통신로를 만들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한다.
- 포맷을 간단하게 하거나 확인 응답을 생략하는 등 즉시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
UDP의 장단점
장점
- 핸드셰이크나 데이터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지 않기떄문에 TCP 보다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.
- 비디오 재성, DNS 조회와 같이 시간에 민감한 전송을 위한 인터넷을 통해 사용된다.
단점
- TCP와 비교하여 먼저 연결을 설정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표시하거나, 의도한 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지않아 신뢰성 및 안정성이 떨어진다.
- 전송중 패킷이 손실될수 있어
DDoS 공격1의 형태로 악용될 수 있다.
UDP 체크섬에 대한 설명
- 체크섬은 받아들인
UDP 데이터그램2의 손상 여부 정합성 체크에 사용되는 2바이트 필드 이다. - 서버가 UDP 헤더에 포함된
UDP 데이터그램 길이3와 체크섬을 이용해 데이터가 손상되지 않았는가를 체크한다.(체크섬 검증) 체크섬 검증에 성공하면 데이터를 받아들인다.
전송후 대기 프로토콜이란
정지대기 프로토콜 (Stop-and-Wait)
- 가장 간단한 형태의 오류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수신자로부터
확인(ACK)을 받을 때까지 대기하는 방식이다.
동작방식
- 송신자가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자에게 전송합니다.
- 수신자는 데이터 프레임을 정상적으로 받으면 ACK(Positive Acknowledgement)를 송신자에게 보냅니다.
- 송신자는 ACK를 받을 때까지 기다립니다.
- 만약 송신자가 일정 시간 동안 ACK를 받지 못하면,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합니다.
출처 : https://zrr.kr/UdB4
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이란
- 데이터 처리와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이 개념으로 사용된다.
- 파이프라인은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하며, 각 작업은 다음 작업으로의 입력이 되어 연결되어 있다.
Go-Back-N
Go-Back-N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오류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로, 전송자와 수신자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여 데이터의 손실이나 손상을 감지하고 복구하는 기술이다. Go-Back-N은 파이프라인 프로토콜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으며,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.
출처 : https://zrr.kr/UdB4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